- OSI 7 layer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로서, 한글 그대로 시스템 상호연결에 있어 개방모델을 뜻한다.
상호 이질적인 네트워크간의 연결에 어려움이 많은데 이러한 호환성의 결여를 막기위해 ISO에서 OSI참조모델을 제시함
실제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수 있도록 단순화된 현실화의 과정에서 채택된 모형
[상위계층]
-응용계층 (어플리케이션) : ex) 브라우저,HTTP,FTP,SSH
-표현계층 (프레젠테이션): ex) JPEG, MPEG, XDR
-세션계층 : ex) TLS,SIP
-전송계층 (트랜스포트) : ex)세그먼트, TCP
-네트워크계층 ex) 패킷, IP
-데이터링크계층 : ex)프레임,맥주소
-물리계층 : ex) 랜선, 비트
[하위계층]
-물뎃네 전세표응(두음자 암기법)
-OSI 7계층의 가장중요한 목적은 두가지 - 표준과 학습도구
각 계층의 캡슐화와 디캡슐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캡슐화 - 7계층에서 1계층
디캡슐화 - 1계층에서 7계층
- 1계층- 물리계층
물리계층은 단지 전기적인 신호만 전송될 뿐임. 즉'10101010101'이런식의 디지털신호가 전송되는 계층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랜선. 1계층의 프로토콜은 USB케이블, 게임콘솔케이블 같은 전자전기공학쪽에 가까움
-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공유기 설정창 같은데서 보면 맥주소. 이맥주소가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하며 장비로는 스위치, PDU는 프레임입니다. 장비로는 스위치 ,PDU 는 프레임입니다. 프로토콜로는 이더넷,HDLC,LCC등이 있습니다.
- 3계층- 네트워크 계층
다중네트워크링크에서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는걸 목표로한다. 대표적 프로토콜은 IP 이다.
- 4계층- 전송계층
전체 메시지를 발신지 대 목적지 간 제어와 에러 관리. 머리맡에는 세그먼트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TCP 이다.
- 5계층- 세션 계층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계층으로, 포트연결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용자간의 포트연결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설정한다
- 6계층- 표현 계층
운영체제의 한 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한다.
확장자를 생각하면 쉽다.
- 7계층- 어플리케이션계층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층이다.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우편, 데이터베이스 관리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로, 텔넷이나 HTTP,SSH,SMTP,FTP등이 있다.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6 7일차 (0) | 2019.11.26 |
---|---|
11.25 학원 6일차 (0) | 2019.11.25 |
11.22 학원5일차 (0) | 2019.11.22 |
11.21 학원 4일차 (0) | 2019.11.21 |
11.20학원 3일차 (0) | 2019.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