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OSI 7 layer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로서, 한글 그대로 시스템 상호연결에 있어 개방모델을 뜻한다. 

상호 이질적인 네트워크간의 연결에 어려움이 많은데 이러한 호환성의 결여를 막기위해 ISO에서 OSI참조모델을 제시함

실제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수 있도록 단순화된 현실화의 과정에서 채택된 모형

 

      [상위계층]

-응용계층 (어플리케이션) : ex) 브라우저,HTTP,FTP,SSH

-표현계층 (프레젠테이션): ex) JPEG, MPEG, XDR

-세션계층             : ex) TLS,SIP

-전송계층 (트랜스포트) : ex)세그먼트, TCP

 


-네트워크계층 ex) 패킷, IP

-데이터링크계층 : ex)프레임,맥주소

-물리계층 : ex) 랜선, 비트

       [하위계층]

-물뎃네 전세표응(두음자 암기법)

 

-OSI 7계층의 가장중요한 목적은 두가지 - 표준과 학습도구

각 계층의 캡슐화와 디캡슐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캡슐화 - 7계층에서 1계층 

 디캡슐화 - 1계층에서 7계층

  • 1계층- 물리계층

물리계층은 단지 전기적인 신호만 전송될 뿐임. 즉'10101010101'이런식의 디지털신호가 전송되는  계층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랜선. 1계층의 프로토콜은 USB케이블, 게임콘솔케이블 같은 전자전기공학쪽에 가까움

  •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공유기 설정창 같은데서 보면 맥주소. 이맥주소가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하며 장비로는 스위치, PDU는 프레임입니다. 장비로는 스위치 ,PDU 는 프레임입니다. 프로토콜로는 이더넷,HDLC,LCC등이 있습니다.

  • 3계층- 네트워크 계층

다중네트워크링크에서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는걸 목표로한다. 대표적 프로토콜은 IP 이다.

  • 4계층- 전송계층

전체 메시지를 발신지 대 목적지 간 제어와 에러 관리. 머리맡에는 세그먼트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TCP 이다.

  • 5계층- 세션 계층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계층으로, 포트연결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용자간의 포트연결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설정한다

  • 6계층- 표현 계층

운영체제의 한 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한다.

확장자를 생각하면 쉽다.

  • 7계층- 어플리케이션계층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층이다.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우편, 데이터베이스 관리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로, 텔넷이나 HTTP,SSH,SMTP,FTP등이 있다.

 

 

반응형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6 7일차  (0) 2019.11.26
11.25 학원 6일차  (0) 2019.11.25
11.22 학원5일차  (0) 2019.11.22
11.21 학원 4일차  (0) 2019.11.21
11.20학원 3일차  (0) 2019.11.20
반응형
  • OSI 7Layer 의 구조

 

- Application          |

- Presentation         |----Application :메시지를 보냄

- Session               |

- Transport  :데이터 전송시에 여러가지 문제가되는부분에 대해 관리함 -데이터 안정성에 대해만 관리함

- Network   : 자신의 IP와 상대방의 IP를 확인해 데이터그램을 보낸다

- Data Link  : 프레임을 보낸다                                                

- Physcial 

 

 

모든 통신은 양쪽의 컴퓨터의 프로세서간의 통신

현재 사용하는 모든 통신방법은 클라이언트 통신방법이다. ex) 크롬, 익스플로러, 파일질라

프로세스 : 실제로 메모리에 적재되서 실행중인 프로그램

서버프로그램 : 항상 메모리에 올라와 있어야함( 서비스를 언제 요청할지 모르기 때문)

블라인드 네트워크: 패킷을 보낸사람은 받은사람이 받은지 못받은지 알지못하는 네트워크

레이어간 통신 :같은 레이어층은 같은 내용을 보내는것

 

http :표준 프로토컬

-어제 복습및 자세히 공부

네트워크 topology

스타형 

링형 -국내에서 잘안쓰임, 군사시설이나 병원에서 쪼금씩사용

버스형 - 시내버스 정류장인거처럼 모든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뿌리는방식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

 

- CS :흘러가는 데이터가 있는지없는지 확인

- MA: 목적지 없이 패킷을 전체에 보냄

- CD:  충돌이 일어나면 보낸 신호를 취소하고 임의의 시간을 기다린다음에 다시 전송을 시도함

 

Mac Addresss (Media access control)

 

ethernet 상의 system들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주소를 말함

6byte 3자리는 제조사 번호 나머지 3자리는 제품의 시리얼넘버

1:1전송  ->unicast        1:N ->broad cast

FF-FF-FF-FF-FF-FF -맥어드레스의 브로드캐스트정보

프로토콜의 대부분은 권고사항

 

브릿지 :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브릿지

스위치 : 브릿지에서 포트수를 늘려논거랑 비슷하다. 패킷을 읽고 어디로가야되나 판단을 해야한다.1초에 만개의 패킷을 마구잡이로 교환이 가능하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가 패킷을 저장하고있다.

 

응용층

전송층

네트워크층 - IP           ->ip ,netmask, gateway 같이 지정

링크층 |  

          |---이더넷 

물리층 |

 

IP는 네트워크주소가 같은곳과만 통신가능

1.1.1.0 과 1.1.1.255 (X) 맨처음 주소와 맨마지막주소 사용 불가

게이트웨이 : 네트워크가 다를경우 지정된 게이트웨이에서 보냄

 

라우터 - 네트워크주소가 다른네트워크를 연결해줌

           브릿지는 양쪽의 맥주소까지 필요하지만 라우터는 네트워크주소만 있으면됨

           게이트웨이까지 내 네트워크 - 라우터들은 서로 라우팅 정보들을 주고받음

NAT서버 환경맞추기

~1.3(24,G:~10.1)

VMnet8=nat인터페이스

 

유닉스 시스템에 사용자 등록 정보

- /etc/passwd

- UID :사용자 번호 -GID :사용자가 포함된 그룹 -":":튜플

한줄에 한계정

계정:암호:UID:GID:주석:홈디렉토리:쉘

UID 1~999번까지 가짜계정 

쉘 :안보이는곳에서 자동으로 인터페이스 역할을해주는것 -윈도우에는 하나밖에없는데, 유닉스에는 쉘이 많음

유닉스의 기본쉘 bash 

사용자 패스워드, 암호정책 정보

-/etc/shadow 

 

해시코드를 사용해서 관리자한테서 사용자 암호를 보호함

-계정 : 암호 : 최종변경일 : 암호변경까지 남은날 : 암호 유효기간 : 암호만료까지 경고기간 : 암호만료뒤 계정 폐쇠까지 기간: 계정 만료일 : 예비

/etc/shadow 파일속내용 빨간줄은 해시코드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아닌 그룹에 권한을줌.

정보보안엔 최소권한 법칙이 중요함. 

/etc/group 파일의 내용

그룹명:암호:GID:소속 계정

 - 계정은 여러구룹에 속하고 기본 소속 그룹은 /etc/passwd 안에 등록된다.

 - groupadd 그룹등록 명령어

 

# groupadd [-g [그룹번호]] [그룹명]

 

옵션

-g : 생성 그룹의 GID 번호를 지정한다.

-r : 1000번 이하의 GID 번호를 자동으로 할당한다.

 

# groupdel [그룹명]

 

# useradd [옵션] [사용자명] 

계정 생성

 

 옵션

- u : uid 지정

- g : gid나 그룹명지정 (default :계정명)

- d : 홈디렉토리 지정 (default : /home/[계정명]) 

-M : 메일 전용 계정 생성

- r : 999번 이하의 UID자동할당

# useradd -r [사용자명]

 

 -r :계정에 귀속된 홈디렉토리와 mailbox등을 모두 삭제한다.

 

# passwd [사용자계정]

패스워드 생성 명령어.

 

 

 

groupadd 명령어 groupde 명령어 실습내용
useradd 명령어 실습내용
userdel 명령어 실습내용

  • 안전한 패스워드 설정

영문 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 문자 중에 둘이상을 포함한다.

반드시 8글자 이상으로한다.

시스템마다 상이한 패스워드를 이용한다.

가급적 자주 변경한다. (최소 6개월에 한번)

 

위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안전한 패스워드 정책이고 관리자의 경우 아무리 복잡한 패스워드도 생일 공격과 같이 해시 충돌에 의한 공격에는 대비가 되지 않음으로 직접 장시간 크랙을 실시해서 안전한 패스워드를 이용한다.

반응형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5 학원 6일차  (0) 2019.11.25
11.23 학원 복습 (osi 7계층)  (0) 2019.11.23
11.21 학원 4일차  (0) 2019.11.21
11.20학원 3일차  (0) 2019.11.20
11.19 학원 2일차  (0) 2019.11.19
반응형

 

리눅스

루트디렉토리

(하부디렉토리)

 

- ETC : 윈도우에서 제어판과 같은 역할을함  

          모든파일들이 TXT파일로 되어있음.

- VAR : 시스템 운영 중간에 데이터 발생하거나 바뀌는거 있으면 두는것.

          로그정보같은게 주로 쌓여있음

- bin, sbin : 명령어 디렉토리, 실행파일들이 들어있음

- usr : 사용자가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할 때 주로 사용함 (주로사용하진않음)

- home :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버에서 한 사람만 사용할수있는 디렉토리

            주의할껀 보안 os가 아닐경우 개인적인 문서를 관리자등 누군가 볼수있다.

            용량을 제일 많이 차지한다.

- dev :디바이스 파일이 제공되는 디렉토리

 

파일명 - 전체 경로명

 ex) /home/te/a.txt

절대경로 표시방법=cp /home/te/a.txt /home/st02/

상대경로 표시방법=(home에있을때)cp ./te/a.txt ./st02/  = cp te/a.txt st02/ 

 명령어 많이 쓰는거 ls , cat ,more, cd, mkdir, rm , cp , mv

           가끔 쓰는거 ln , echo ,env

cat - echo 는 헷갈림

 

커널의 목적- 하드웨어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체제 중 가장 핵심적인부분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프로토콜 : 문서화된 규칙, 규정

네트워크 형태

스타형 : 단일 경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것 굉장히, 빠름, 비쌈, 전화국에서 사용, 서킷망 사용

           ex) ATM 네트워크

링형 : FDDI 네트워크 - 군대, 병원에서 사용 , 안정성이 굉장히 높음

 

버스형 : 가격이 저렴함 -패킷망 사용 - 이 방법을 이더넷이라고 불름

            패킷- 내가보내고자하는 데이터에 보내는사람의 정보와 받는사람의 정보가 들어있음

 

-리눅스

 

루트디렉토리

 

(하부디렉토리)

 

 

 

- ETC : 윈도우에서 제어판과 같은 역할을함  

 

          모든파일들이 TXT파일로 되어있음.

 

- VAR : 시스템 운영 중간에 데이터 발생하거나 바뀌는거 있으면 두는것.

 

          로그정보같은게 주로 쌓여있음

 

- bin, sbin : 명령어 디렉토리, 실행파일들이 들어있음

 

- usr : 사용자가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할 때 주로 사용함 (주로사용하진않음)

 

- home :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버에서 한 사람만 사용할수있는 디렉토리

 

            주의할껀 보안 os가 아닐경우 개인적인 문서를 관리자등 누군가 볼수있다.

 

            용량을 제일 많이 차지한다.

 

- dev :디바이스 파일이 제공되는 디렉토리

 

 

 

파일명 - 전체 경로명

 

 ex) /home/te/a.txt

 

절대경로 표시방법=cp /home/te/a.txt /home/st02/

 

상대경로 표시방법=(home에있을때)cp ./te/a.txt ./st02/ = cp te/a.txt st02/ 

 

 명령어 많이 쓰는거 ls , cat ,more, cd, mkdir, rm , cp , mv

 

           가끔 쓰는거 ln , echo ,env

 

cat - echo 는 헷갈림

 

 

 

커널의 목적- 하드웨어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체제 중 가장 핵심적인부분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프로토콜 : 문서화된 규칙, 규정

 

네트워크 형태

스타형 : 단일 경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것 굉장히, 빠름, 비쌈, 전화국에서 사용, 서킷망 사용

 

           ex) ATM 네트워크

 

링형 : FDDI 네트워크 - 군대, 병원에서 사용 , 안정성이 굉장히 높음

 

 

 

버스형 : 가격이 저렴함 -패킷망 사용 - 이 방법을 이더넷이라고 불름

 

            패킷- 내가보내고자하는 데이터에 보내는사람의 정보와 받는사람의 정보가 들어있음

 

 

 

-ethernet (이더넷) - CSMA/CD 방식 : 네트워크라인엔 패킷이 한번에 하나들어가야됨

                                                 (CS)캐리어 센스 작업- 네트워크상에 데이터 유무 확인

                                                 (MA)멀티플 액세스 - 통제하지 않고 보내는것,도청위험

                                                 (CD)컬리젼 디텍트 - 충돌을 확인하면 잠시 멈춤

 -node(노드)- 이더넷에 붙이는 장치

네트워크- 컴퓨터다루는사람 - 특권계층

이더넷---규격은 그대론대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확장할수 없음 --> 그래서 발생한게 스위칭허브

더미허브(허브) : 모든데이터를 모든 노드에 보낸다.

스위칭허브 -네트워크 속도 향상 : A 가 B로 데이터를보낼때 C가 D로보낼때 콜리젼이 발생하지않음

                                   이유 : 패킷의 목적지를 보고  필요한 목적지로만 보내줌

이더넷의 모습

 

-------(네트워크 5계층)--------

네트워크 엣지(전송층, 응용층)

응용층                         |  App(data)

전송층                         | TCP(segment)


네트워크층                   |  Ip(datagram)

링크층                         |   -ethernet

물리층                         |   (frame)

----네트워크 코어(물리층,링크층,네트워크층)  

레이어를 나누는 원칙 - 투명성

왜 나눌까? 네트워크가 설명하기 어려워서 나눠서 설명하고 싶어서.

책임추적성- 정보보안은 어떤 행위에대한 정확한 책임을 알려줘야한다.

MAC 주소 - 이더넷에 달린주소

 

IP  네트워크주소 + 컴퓨터주소

netmask 네트워크 주소가 어디까진지 알려줌 - 255로 되는게 네트워크 주소

            통신할수있는 한계점을 알려줌

Gateway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기위해 필요한것 (대표적인 장비 -라우터)

--둘다 이진수! 32비트 -쪼개서 16비트 - 쪼개서 8비트 - 8비트 0-255까지

 

ex)    IP : 1.1.1.3

netmask: 255.255.255.0

      ----3자리까지 네트워크주소 +마지막은 호스트주소

네트워크의 마지막주소는 방송용주소이다.

1.1.1.255-브로드케스트주소 1.1.1.0 -네트워크주소 둘다사용 X

아이피는 넷마스크가 없으면 무의미 , 항상 같이 사용

네트워크주소가 다른놈과 통신하기위해 필요한것 게이트웨이

255.255.255.0=24

우리네트워크

segment =불분명한단어

반응형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5 학원 6일차  (0) 2019.11.25
11.23 학원 복습 (osi 7계층)  (0) 2019.11.23
11.22 학원5일차  (0) 2019.11.22
11.20학원 3일차  (0) 2019.11.20
11.19 학원 2일차  (0) 2019.11.19
반응형

z드라이브쓸때 putty 명령어

링크를 만든거다

 

심볼릭 링크와 하드링크

-심볼릭 링크 : 원본파일이 지워지면 작동하지않음

-하드링크 : 원본파일과 똑같은 inode를 가진다. 그렇기에 원본이 사라져도 여전히 사용가능

 

ln 명령어 : link 파일 생성

ln 명령어 실습

 

 -s : soft link 생성 

 -f :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지우고 link파일 생성

 

 

 

 

 

 

 

more 명령어

화면출력을 화면 단위로 제어

출력되는 내용이 많아서 화면을 넘어가는 경우 사용

 

ex ) #ls -al | more

 

 

 

more 누르면 밑으로 내려가면서 정보가 계속 나온다----------------->

 

 

 

 

grep 명령어

필터링

 출력 문자열중에 원하는 단어나 글자가 들어있는 라인만 출력하고자 할때 이용

   command | grep

ex)#ls -al | grep conf

head, tail 명령어 -리눅스마스터 시험에나옴

 파일의 일부분을 출력, 각각 앞 뒤에서 10 라인씩 출력

 

옵셥

 -n : 지정한 라인만큼나옴

 

find 명령어

 파일시스템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검색한다.

 

# find 검색경로 검색조건 1 검색조건2...

 

검색조건

  -name :파일명으로 검색 (와일드카드문자 사용)

  -perm : 특정 퍼미션을 가진 파일을 검색

  -empty: 크기가 0인 파일 검색

 

type b 블락 디바이스 파일 (움직이는 트럭- 블락)

운영체제 설치시 - 커널 설치  - 커널만 하드웨어 액세스 가능 

    * :문자  ?????:문자열

find 명령 에러

-name 옵션 사용시 문자열을 인식못하는 에러

이런경우 문자열에 '를 추가한다.

 

ipconfig /all 쳤을때의 정보 빨간줄은 mac address

tar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압축한다.

  -gzip 용량을 줄인다.

# tar 옵션 압축파일명 대상

       -유니스명령어라 다 붙여서쓴다.

     -c :압축, -x :풀기 , -v : 작업내용을 출력

     -z :gzip을 이용 압축 , -j:bzip2 이용

     -f : 파일명을 지정, -p : 퍼미션 유지

clock

리눅스 시스템에 탑재된 bios의 시간을 출력하거나 변경한다

 

 옵셥 

-r :bios의 시간을 읽어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

-w:시스템의 시간을 이용 시간을 갱신한다.

-s:bios의 시간으로 시스템의 시간을 변경한다.

date

 지정한 포맷으로 시스템의 날짜를 출력한다

# date [+포맷]

rdate

인터넷상에 제공되는 서버로부터 시간정보를 받아 시간을 출력하거나 시스템의 시간을 재설정한다.

 

# rdate [옵션] [시간 제공 서버 주소]

 

우리나라는 보라넷에서 제공-time.bora.net

옵션 

 -p : 타임서버로 부터 제공된 시간을 출력

 -s : 타임서버로 부터 제공된 시간을 이용 시스템의 시간을 재설정한다.

 

vi 실행

- vi에디터는 반드시 파일명을 추가해서 실행한다.

유닉스에서 나온 최초의 화면단위 에디터

# vi 파일명  <--반드시 이렇게 실행

  100퍼센트 맞다고 확실할때 저장.

vi의 모드

windows용 에디터와는 달리 에디팅하는 모드와 이를 편집하는 모드가 다르다.

 - 명령모드 : 입력 이외의 편집작업 #esc누르면 명령모드

 - 입력모드 : 데이터 입력 및 수정 #i(앞에),a(뒤에),o(공백)

 - 실행 모드: 파일 저장, 종료 #:누르면 실행모드

화살표 대신 h,j,k,u 사용

명령 모드에서 삽입 모드로 변경

- i: 커서 위치부터 입력

- a: 커서 다음 칸에 입력

- o :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을 삽입하고 입력

- I: 커서가 위치한 라인맨앞에 입력

- A: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뒤에 입력

이동 

 h,j,k,l (왼쪽,아래,위,오른쪽)

 gg, G(문서 맨 처음이나 아래로)

 숫자+ G( 숫자 라인으로 이동)

ctrl +f ctrl +b ctrl +d ctrl +u화면단위이동

삭제

 x(글자 삭제) dd (라인 삭제) dw (단어삭제) D(커서뒷부분 삭제)

검색

 /문자열

 n (검색상태에서 순방향으로 재 검색,/와 동일)

 N

환경설정

:set 환경변수 값

 

환경변수

  nu (라인번호 표시)

  sm (반대괄호 표시)

:wq (저장후 종료)

:q! (저장하지 않고 종료)

:w [파일명] (저장 또는 지정한 파일명으로 내용저장) -----쓰지마라

------------

z드라이브를 통한 웹 페이지 만들기

현재 나의 z드라이브

 

html 폴더를 만들었다
메모장에 나를 표현하는 단어를 사용하고
index.html로 확장자 변환후 인코딩을 ANSI로 하고 저장
내 아이피 어드레스를 입력하니 크롬에서 확인 가능한 웹사이트가 만들어졌다.

반응형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5 학원 6일차  (0) 2019.11.25
11.23 학원 복습 (osi 7계층)  (0) 2019.11.23
11.22 학원5일차  (0) 2019.11.22
11.21 학원 4일차  (0) 2019.11.21
11.19 학원 2일차  (0) 2019.11.19
반응형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장점

-생산성이 높다.

Rdbs?

메인프레임 - 서버의 차이

-메인프레임 시스템 (원키어 아키텍쳐?): 하나의 컴퓨터가 모든일을 처리함. 네트워크가 필요없다.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모니터와 키보드를 설치하고 여러명이서 사용.

-서버 : 메인프레임을 대체해서 급이낮은 여러 컴퓨터로 대체

 다운사이징? ---> 서버가 기하급수로 늘어남 ----> 보안능력자 수요 증가

 

 

- group add st - useradd -g st st11

- passwd 12

    PuTTY 접속시 -UTF-8변환 키 1 -14 - 교환

- ls 리눅스(Linux)에서는 ls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렉토리(directory)에 있는 내용(디렉토리, 파일 등)을 확인한다.

ls -al 숨겨진 파일까지 확인가능

pwd- 현재 자기위치 확인

파일 - 디렉토리

아이콘 - 링크파일

 운영체제는 명령어 대문자 소문자 구분

command [-단일문자옵션] [--다중 문자옵션]

-단일문자로 구성된 옵셥은 동시에 여러개를 지정 할 수 있다.

 ex) ls -a -l         =  ls -al

 

 | 파이프 : 연결하는데 사용

 

디렉토리

 트리구조

ex) 윈도우 c-program files - 7-zip -lang

     리눅스 /home/test

   절대경로 표현방법: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표현하는방법

   상대경로 표현방법: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표현하는 방법

                        상대 경로 표현방법   ----->

  \ users\st11 바로 위 \user 파일로 올라감

 

디렉토리 표현 

/ : 최상위 root 디렉토리(절대경로 표현의 기준)  ./:현재디렉토리  ../:상위 디렉토리

 

# cd -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 pwd 현재위치한 디렉토리를 절대경로 표현법으로 출력한다.

# rmdir 지정한 디렉토리를 삭제한다.-잘사용안함

# mkdir 지정한 디렉토리를 생성 -p :필요하다면 생성하고자 하는 상위의 디렉토리까지 생성한다.

# ls 현재 디렉토리의 목롤을 출력한다.

 

위에 명령어 실습내용

-새로운 리눅스를 쓸때는 man  명령어로 명령어의 옵션을 확인한다.

man ls 쳤을때 나오는 설명 내용이다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히든 파일

정보보안3요소- 기밀성,무결성,가용성

브릿지-고정된 컴퓨터  NaT- 이동식 컴퓨터

유닉스  기본출력장치 --->모니터                 > : 표준 출력지시자 를 이용하면 다른 디바이스로 출력가능

           기본입력장치 --->키보드                    : commad > 파일 : 명령 결과를 파일로 저장

 

# cat [옵션] [출력 대상 파일]

  

옵션 

 -n : 행 단위 번호

 -b : 공백 라인을 제외하고 행 단위 번호

 

cat

 파일의 입출력 제어

 # cat [<입력파일> 출력파일]

 기본 입력 파일 : 키보드

 기본 출력 파일 : CRT  --

 입력 파일의 경우 <기호 생략 가능

 >> : 출력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내용 추가

ex) # cat a.txt     # cat <a.txt> b.txt

-ctrl+c ,            ctrl+d = 종료명령

(흔적이남음)  (흔적이 안남음)

echo - 악세서리 기능

 환경 변수나 입력내용을 출력

변수 : 메모리공간 --> 어떤 특정한 값들이 저장되있음

$=연산자  echo $Home-변수   echo  '$Home '=문자

echo명령어 cat명령어 실습 장면

c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한다.

# cp [옵션] 원본파일 복사파일명

 

 옵션

  -a : 원본의 속성유지

  -r : 하위 디렉토리나 파일모두 복사

  -p: 파일의 소유와 권한등을 보존한채 복사

  -u: 새파일 덮어쓰기 금지

       

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한다.

# mv [옵션] 원본 파일 이동파일명

 

 옵셥

 -f : 강제 실행

 -b: 파일이 덮어 쓰여질 경우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i : 삭제전 일일이 삭제여부 확인

 -v: 이동경로 확인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 rm [옵션] 대상파일

  옵션

 -f : 강제 실행

 -r : 대상 중에 디렉토리가 있는경우 디렉토리도 삭제

(* : 모든문자)

 

반응형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5 학원 6일차  (0) 2019.11.25
11.23 학원 복습 (osi 7계층)  (0) 2019.11.23
11.22 학원5일차  (0) 2019.11.22
11.21 학원 4일차  (0) 2019.11.21
11.20학원 3일차  (0) 2019.11.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