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파일구조와 퍼미션

d: 디렉토리

-: 파일 |  r: 읽을수있냐! | w: 쓸수있냐! | x: 실행할수있냐! 

숫자 : 하드링크수| user : 소유자 |그룹명: 그룹소유자| 숫자: 크기| 파일명

 

파일을 삭제하려면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의 -w권한이 있어야함

파일의 종류 

기호 파일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토리
l 링크 파일
b

블록 디바이스 파일

c 문자 디바이스 파일

-디바이스 파일에서 작업을 하면 커널에서 대신 작업을 해줌.

 

버퍼 :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메모리이다. 

       이걸 이용해  처리속도를 빠르게함

캐시 : 데이터 값을 미리 저장해두는  임시장소를 가르킨다. 캐시의 접근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 접근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유자 -u , 그룹소유자 -g ,나머지 모든 사용자 -o 로 구별한다.

구분 파일 디렉토리
r 읽기 파일 목록 보기
w 쓰기 파일 생성
x 실행 등거가기

구조

rwx rwx rwx 

표기 (8진수) 퍼미션은 각 문자의 합으로 표현

r :4 w:2 x:1

 

rwxr-xr-x : 755

rwxr--r-- : 744

 

-chmod : 퍼미션 수정명령

  (파일소유자만 가능)

# chmod [옵션] [퍼미션] [파일]

 

 옵션

 -R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수정

 

 # chmod 755 a.txt

 # chmod -R 750 aa/

대상 : u(user), g(group), o(other), a(all)

operator : +(추가) -(삭제), =(변경하지 않음)

퍼미션 : r,w,x,s,t

 

 # chmod -R 755 ./a/

 # chmod o+x,g-x a.txt

 # chmod g+wx, o-w, o+x a.txt

chmod 명령어 실습

chown, chgrp

 소유자 또는 그룹소유자 변경

 

# chown [-R] [유저명] [대상]

# chown [-R] [유저명], [그룹명] [대상]  - 비표준명령

# chgrp [-R] [그룹명] [대상]

 

관리자-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래밍 하면 안되게 되있음.

chown , chgrp 명령어 실습

umask 명령

 . umask 확인

   # umask

    - 기본 umask 022(0022)

 

 . umask 변경

  # umask [제외할 퍼미션]

  # umask o77(oo77)

생성된 파일의 퍼미션은 600 (0600)으로 변경한다.

umask 변경 실습

리눅스를 사용하기위해선 무조껀 해야되는것

 

--ntsysv

-->reboot 설정 변경시 꼭 리부팅 

Networkmanager - 켜져있으면 수동으로 네트워크설정이 안됨

Firewalld. service - 내부로부터 방어하는 방화병

selinux - 보안용 미션

d: 디렉토리

 

-: 파일 | r: 읽을수있냐! | w: 쓸수있냐! | x: 실행할수있냐! 

 

숫자 : 하드링크수| user : 소유자 |그룹명: 그룹소유자| 숫자: 크기| 파일명

 

 

 

파일을 삭제하려면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의 -w권한이 있어야함

 

파일의 종류 

 

기호 파일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토리

l 링크 파일

블록 디바이스 파일

 

c 문자 디바이스 파일

-디바이스 파일에서 작업을 하면 커널에서 대신 작업을 해줌.

 

 

 

버퍼 :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메모리이다. 

 

       이걸 이용해 처리속도를 빠르게함

 

캐시 : 데이터 값을 미리 저장해두는 임시장소를 가르킨다. 캐시의 접근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 접근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유자 -u , 그룹소유자 -g ,나머지 모든 사용자 -o 로 구별한다.

 

구분 파일 디렉토리

r 읽기 파일 목록 보기

w 쓰기 파일 생성

x 실행 등거가기

구조

 

rwx rwx rwx 

 

표기 (8진수) 퍼미션은 각 문자의 합으로 표현

 

r :4 w:2 x:1

 

 

 

rwxr-xr-x : 755

 

rwxr--r-- : 744

 

 

 

-chmod : 퍼미션 수정명령

 

  (파일소유자만 가능)

 

# chmod [옵션] [퍼미션] [파일]

 

 

 

 옵션

 

 -R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수정

 

 

 

 # chmod 755 a.txt

 

 # chmod -R 750 aa/

 

대상 : u(user), g(group), o(other), a(all)

 

operator : +(추가) -(삭제), =(변경하지 않음)

 

퍼미션 : r,w,x,s,t

 

 

 

 # chmod -R 755 ./a/

 

 # chmod o+x,g-x a.txt

 

 # chmod g+wx, o-w, o+x a.txt

 

chmod 명령어 실습

chown, chgrp

 

 소유자 또는 그룹소유자 변경

 

 

 

# chown [-R] [유저명] [대상]

 

# chown [-R] [유저명], [그룹명] [대상] - 비표준명령

 

# chgrp [-R] [그룹명] [대상]

 

 

 

관리자-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래밍 하면 안되게 되있음.

 

chown , chgrp 명령어 실습

umask 명령

 

 . umask 확인

 

   # umask

 

    - 기본 umask 022(0022)

 

 

 

 . umask 변경

 

  # umask [제외할 퍼미션]

 

  # umask o77(oo77)

 

생성된 파일의 퍼미션은 600 (0600)으로 변경한다.

 

umask 변경 실습

리눅스를 사용하기위해선 무조껀 해야되는것

 

 

--ntsysv

 

-->reboot 설정 변경시 꼭 리부팅 

 

Networkmanager - 켜져있으면 수동으로 네트워크설정이 안됨 -끄기

Firewalld. service - 내부로부터 방어하는 방화병 -끄기

selinux - 정책기반 보안용 시스템 -끄기

-->cd /etc/selinux

vi config

SELINUX=enforcing -> disabled

드래그- 복사 , 마우스 오른쪽키 - 붙여넣기

 

cd /etc/rc.d

rc.local -vi 에디터로 rdate -s time.net 추가

x 퍼미션 없을시엔 x 퍼미션 추가

 

 

1~1023 포트까지 는 국제기구에서 정해준 포트

ftp = 21 ssh = 22 http = 80 -고정된 포트 (서버)

 

네트워크를 연결하는장치 = 라우터 (아이피까지 봐야 식별가능), 스위치 (맥주소만봐도식별가능)

 

정보보안 3대요소

-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데이터베이스공격|   |네트워크공격|

 

-랜카드 추가- 맥어드레스 추가

 

Network Interface Card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하다.

 -리눅스의 경우 ens 32, ens34... 등의 이름으로 명명한다.

디바이스 파일

 -/lib/modules/3.10.0-693.el7.x86_64/kernel/drivers/net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한다.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를 확인하거나 설정을 변경한다.

--- 일시적으로 아이피 넷마스크를 바꿀수있다. (게이트웨이는 못바꾼다.)

#ifconfig 

#ifconfig [NIC명]

#ifconfig [NIC명] [IP] netmask [mask명] [up|down]
--  안나올때 ifconfig ens32

네트워크 설정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IC

  ->네트워크 설정 : IP , subnetmask, gateway...

/etc/resolv.conf

  -> DNS server

/etc/hostname

 -> 호스트명

 

TYPE=Ethernet   

DEVICE=nic명   ## 이더넷 인터페이스 종류

BOOTPROTO=[static/dhcp/bootp/none]  ## IP 할당방식, static(고정),dhcp(동적) , bootp(현재 pump로 알려진 bootp protocol이 사용됨.), none(정확히 어떤걸 사용하지 않겠다.)

UUID - 하드웨어의 고유식별번호 (자동으로 세팅됨, 바뀌지 않음) 

IPADDR=IP  

PREFIX=Subnet Mask

GATEWAY=gateway 주소

DNS1=dns 서버주소

NETWORK= Network 주소

 

/etc/resolv.conf 

 search [default 도메인명]

 nameserver [DNS 서버 IP]

-내가 쓰는 서버 : 로컬 네임서버

 

/etc/sysconfig/network

 NOZEROCONF=yes

 - ip를 마음대로 설정할때 사용

 - 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을 위하여 예약된 subnet 설정을 제거한다.

 -반드시 필요한 옵션은 아님.

 

왼쪽= 파라미터,설정값, 변수 | 왼쪽 =값  -->대입연산자

ex ) ONBOOT="yes"

 

네트워크 재시작

 # systemctl [stop | start | restart] network

 

파일을 수정한 이후에는 반드시 네트워크를 재시작해야한다.

 

CentOS6 이전 버전

 # service network [stop | start | restart]

 

ping 

 특정 호스트까지의 연결과 대상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 ping [ip]

 

netstat

 시스템의 연결상태, 포트, 인터페이스등의 상태와 통계정보를 확인해서 네트워크 상태 진단하는 프로그램

 

# netstat [옵션]

 

옵션 

 -i : 인터페이스 상태확인

 -s : IP,ICMP,TCP, UDP 에 대한 패킷 통계정보

 -nr : 라우팅테이블 확인  -->Destination , gateway 차이때문에 통신이 끊기는 구간이 생기기도한다.

 

 

arp

 패킷을 송수신한 대상의 MAC 주소를 확인한다.

-보안기능이 없어서 여러가지 해킹에 사용됨.

 

-a : arp 목록 전체 출력 - s: arp 정적등록 -d :arp 및 삭제

arp 초기화

 # ip -s neigh flush all

windows 7 부터 arp명령어 이용이 제한되어 netsh 명령을 이용한다.

초기화 : netsh interface ip delete arpcache

삭제 : netsh interface ip delete neighbors "interface" ip

등록 : netsh interface ip add neighbors "interface" ip mac

 

네트워크 명령어

 host, nslookup, dig

 :도메인 명에서 ip를 확인하거나 ip를 이용 도메인명을 확인

인터넷이 안될때 확인해볼것

 

Traceroute(tracert)

  출발지 시스템에서 목적지 시스템까지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

 

route

 라우팅 경로를 확인하거나 수정한다.  ---> 우리 경로에 라우팅 하나밖에없으면 절대 건드리면 안된다!!

 

 

반응형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7 학원 8일차  (0) 2019.11.27
11.26 7일차  (0) 2019.11.26
11.23 학원 복습 (osi 7계층)  (0) 2019.11.23
11.22 학원5일차  (0) 2019.11.22
11.21 학원 4일차  (0) 2019.11.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