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루트디렉토리
(하부디렉토리)
- ETC : 윈도우에서 제어판과 같은 역할을함
모든파일들이 TXT파일로 되어있음.
- VAR : 시스템 운영 중간에 데이터 발생하거나 바뀌는거 있으면 두는것.
로그정보같은게 주로 쌓여있음
- bin, sbin : 명령어 디렉토리, 실행파일들이 들어있음
- usr : 사용자가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할 때 주로 사용함 (주로사용하진않음)
- home :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버에서 한 사람만 사용할수있는 디렉토리
주의할껀 보안 os가 아닐경우 개인적인 문서를 관리자등 누군가 볼수있다.
용량을 제일 많이 차지한다.
- dev :디바이스 파일이 제공되는 디렉토리
파일명 - 전체 경로명
ex) /home/te/a.txt
절대경로 표시방법=cp /home/te/a.txt /home/st02/
상대경로 표시방법=(home에있을때)cp ./te/a.txt ./st02/ = cp te/a.txt st02/
명령어 많이 쓰는거 ls , cat ,more, cd, mkdir, rm , cp , mv
가끔 쓰는거 ln , echo ,env
cat - echo 는 헷갈림
커널의 목적- 하드웨어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체제 중 가장 핵심적인부분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프로토콜 : 문서화된 규칙, 규정
스타형 : 단일 경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것 굉장히, 빠름, 비쌈, 전화국에서 사용, 서킷망 사용
ex) ATM 네트워크
링형 : FDDI 네트워크 - 군대, 병원에서 사용 , 안정성이 굉장히 높음
버스형 : 가격이 저렴함 -패킷망 사용 - 이 방법을 이더넷이라고 불름
패킷- 내가보내고자하는 데이터에 보내는사람의 정보와 받는사람의 정보가 들어있음
-리눅스
루트디렉토리
(하부디렉토리)
- ETC : 윈도우에서 제어판과 같은 역할을함
모든파일들이 TXT파일로 되어있음.
- VAR : 시스템 운영 중간에 데이터 발생하거나 바뀌는거 있으면 두는것.
로그정보같은게 주로 쌓여있음
- bin, sbin : 명령어 디렉토리, 실행파일들이 들어있음
- usr : 사용자가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할 때 주로 사용함 (주로사용하진않음)
- home :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버에서 한 사람만 사용할수있는 디렉토리
주의할껀 보안 os가 아닐경우 개인적인 문서를 관리자등 누군가 볼수있다.
용량을 제일 많이 차지한다.
- dev :디바이스 파일이 제공되는 디렉토리
파일명 - 전체 경로명
ex) /home/te/a.txt
절대경로 표시방법=cp /home/te/a.txt /home/st02/
상대경로 표시방법=(home에있을때)cp ./te/a.txt ./st02/ = cp te/a.txt st02/
명령어 많이 쓰는거 ls , cat ,more, cd, mkdir, rm , cp , mv
가끔 쓰는거 ln , echo ,env
cat - echo 는 헷갈림
커널의 목적- 하드웨어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체제 중 가장 핵심적인부분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프로토콜 : 문서화된 규칙, 규정

네트워크 형태
스타형 : 단일 경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것 굉장히, 빠름, 비쌈, 전화국에서 사용, 서킷망 사용
ex) ATM 네트워크
링형 : FDDI 네트워크 - 군대, 병원에서 사용 , 안정성이 굉장히 높음
버스형 : 가격이 저렴함 -패킷망 사용 - 이 방법을 이더넷이라고 불름
패킷- 내가보내고자하는 데이터에 보내는사람의 정보와 받는사람의 정보가 들어있음
-ethernet (이더넷) - CSMA/CD 방식 : 네트워크라인엔 패킷이 한번에 하나들어가야됨
(CS)캐리어 센스 작업- 네트워크상에 데이터 유무 확인
(MA)멀티플 액세스 - 통제하지 않고 보내는것,도청위험
(CD)컬리젼 디텍트 - 충돌을 확인하면 잠시 멈춤
-node(노드)- 이더넷에 붙이는 장치
네트워크- 컴퓨터다루는사람 - 특권계층
이더넷---규격은 그대론대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확장할수 없음 --> 그래서 발생한게 스위칭허브
더미허브(허브) : 모든데이터를 모든 노드에 보낸다.
스위칭허브 -네트워크 속도 향상 : A 가 B로 데이터를보낼때 C가 D로보낼때 콜리젼이 발생하지않음
이유 : 패킷의 목적지를 보고 필요한 목적지로만 보내줌
-------(네트워크 5계층)--------
네트워크 엣지(전송층, 응용층)
응용층 | App(data)
전송층 | TCP(segment)
네트워크층 | Ip(datagram)
링크층 | -ethernet
물리층 | (frame)
----네트워크 코어(물리층,링크층,네트워크층)
레이어를 나누는 원칙 - 투명성
왜 나눌까? 네트워크가 설명하기 어려워서 나눠서 설명하고 싶어서.
책임추적성- 정보보안은 어떤 행위에대한 정확한 책임을 알려줘야한다.
MAC 주소 - 이더넷에 달린주소
IP 네트워크주소 + 컴퓨터주소
netmask 네트워크 주소가 어디까진지 알려줌 - 255로 되는게 네트워크 주소
통신할수있는 한계점을 알려줌
Gateway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기위해 필요한것 (대표적인 장비 -라우터)
--둘다 이진수! 32비트 -쪼개서 16비트 - 쪼개서 8비트 - 8비트 0-255까지
ex) IP : 1.1.1.3
netmask: 255.255.255.0
----3자리까지 네트워크주소 +마지막은 호스트주소
네트워크의 마지막주소는 방송용주소이다.
1.1.1.255-브로드케스트주소 1.1.1.0 -네트워크주소 둘다사용 X
아이피는 넷마스크가 없으면 무의미 , 항상 같이 사용
네트워크주소가 다른놈과 통신하기위해 필요한것 게이트웨이
255.255.255.0=24
우리네트워크
segment =불분명한단어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5 학원 6일차 (0) | 2019.11.25 |
---|---|
11.23 학원 복습 (osi 7계층) (0) | 2019.11.23 |
11.22 학원5일차 (0) | 2019.11.22 |
11.20학원 3일차 (0) | 2019.11.20 |
11.19 학원 2일차 (0) | 201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