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실행중인 파일) State.
1)Dispatch
준비 리스트의 맨 앞에 있던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게 되는 것, 즉 준비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바뀌는 것을 디스패치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2)Blocking
실행 상태의 프로세스가 허가된 시간을 다 쓰기 전에 입출력 동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CPU를 스스로 반납하고 보류 상태로 넘어 간다. 이것을 보류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3)wake up
입출력 작업 종료 등 기다리던 사건이 일어났을 때 보류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넘어가는 과정을 깨움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4)Time run out
운영체제는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계속 독점해서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clock interrupt를 두어서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동안만 프로세서를 점유할 수 있게 한다
운영체제 이해 및 관리
-컴퓨터 시스템
데이터를 처리하는 물리적인 기계장치인 하드웨어 와 어떤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어로 작성한 프로글매인 소프트웨어로 구성
-컴퓨터 하드웨어
하드웨어는 프로세서 , 메모리, 주변장치로 구성되고 , 이들은 시스템 버스로 연결
-프로세서 cpu(중앙처리장치) -레지스터 +연산장치 +제어장치 + cpu 내부 버스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 중 운영체제와 가장 밀접한 부분으로, 컴퓨터의 모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연산 수행
시스템 버스
-정의 : 시스템에 많은 장치를 공유하여 데이터, 주소,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전송 라인이다. 한정된 자원이므로 버스를 획득하기 위한 경합이 많이 발생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입출력 성능에 영향을 준다
-종류
1)데이터 버스 - 시스템 컴포넌트 간 처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용도
2)주소 버스 - 기억장소의 위치 또는 장치 식별을 지정하기 위한 라인
- 라인의 비트수에 따라 접속될 수 있는 장치의 용량이 결정됨
3)제어 버스 - CPU 와 기억장치 또는 I/O 장치 사이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
레지스터
-정의
1)cpu 내부의 소규모 데이터나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해 두는 고속의 전용 영역
2)컴퓨터 기억장치 중 Access 속도가 가장 빠름
-용도에 따른 분류
1) 전용 레지스터
:특수한 목적을 가지는 레지스터로 PC(프로그램카운터), 상태 레지스터, 주소 레지스터, 명령어 레지스터, 누산기 등이 있다.
종류
*AC(Accumulator):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현재값+메모리로부터 읽어온 값
*PC(Program Counter):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번지를 지정
*MAR(Memory Address Register): 주기억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주기억장치의 번지를 기억
*MBR(Memory Buffer Register): 기억장치로 쓰여질 데이터나 기억장치로부터 읽어온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
IR(Instruction Register): 현재실행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2) 범용 레지스터
: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 내에 있으며 연산처리, 연산결과, 복귀 주소등 작은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CPU 명령 실행주기
1) 인출 사이클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읽어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려고 프로그램 카운터를 증가시킴
2) 실행 사이클
:인출한 명령어를 해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명령어 실행
3) 간접 사이클
:간접 주소 지정 방법을 사용하는 실행 사이클은 명령어를 수행하기 전에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주소인 유효주소를 한 번 더 읽어 옴
4) 인터럽트 사이클
: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 시스템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사건
'공부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 시스템보안- 메모리 시스템 2 (0) | 2020.01.12 |
---|---|
01.08 시스템보안 -CPU의 구조적 이해 (0) | 2020.01.08 |
11.17시스템 보안 (0) | 2019.11.17 |
11.05시스템 보안 (0) | 2019.11.05 |
11.04 시스템 보안 (0) | 2019.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