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S

  • F 함수

E 테이블은 32 bit 를 48 bit로 확장

S-box는 48 bit를 32bit로 치환

라운드를 16번 반복 한다. ( 짝수번 돌아야 암호화 가능)

키는 64bit 중 54bit가 마스터키 , 그 중 48bit 사용

 

  • 치환선택

6bit 를 4bit 로 만들때 경우의수가 64 : 16 이기때문에 손실률이 1/4 값이 된다.

 

  • S-box

 

첫번째 숫자와 마지막 숫자는 행을 나타내고 중간에 4개의 숫자는 열을 나타낸다.

 

  • 순열

 

 

DES 암호 시스템의 단점은 블록마다 평문이 똑같은 것은 암호문이 같기때문에 위험하다.

 

64비트의 키를 이용

64비트를 56비트로 축약하여 서브키를 생성

8번째 비트마다 패리트 비트를 포함하여 64비트를 키로 이용

패리트비트를 제거하여 56 비트로 이용

- 각라운드마다 서브키 생성

 

ECB 모드 - 하나하나 암호화하는것

CBC 모드 - 암호화한 문장을 다음 평문과 xor 연산 이후 암호화 하는것

CFB 모드 - 인공위성 통신할때사용하는것.64bit 레지스터를 오른쪽 8bit 씩 연산후 다음 64bit 레지스터 오른쪽에 패딩함

OFB 모드 - CFB와 거의 똑같다

 

AES

 

- Rijndael 128, 192, 256 비트의 다양한 길이의 키를 사용

- 알려진 모든 공격에 대응 가능

- 스마트 카드상의 컴팩트한 보조 프로세서등에 이용 가능

 

IDEA

 

- 국제 데이터 암호 알고리즘

- 64비트 평문 블록에서 128비트 키를 이용 작동

 

RC5

 -32, 64, 128 비트 블록 사이즈를 이용

 

SEED

- 한국 정보보호 센터에서 1999년 2월 개발

- 128비트 평문 블록에서 128비트 키를 이용 작동

 

 

 

 

반응형

'2020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15 암호  (0) 2020.01.15
01.14 오라클 관리자 - 사용자 관리  (0) 2020.01.14
01.13 오라클 실습  (0) 2020.01.13
01.13 오라클관리자  (0) 2020.01.13
01.13 암호  (0) 2020.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