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HP 함수

-알고리즘이 꼬여서 자주 바꿔줘야 하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것이 함수를 사용하는 것 이다.

 

1.함수

function 함수명 (매개변수, ..)
{
 실행 구문;
 [return 반환값];
 }

매개변수 : 함수에서 실행할 값.

가능하면 return 값이 있는게 좋다.

 

function usum($a, $b) 
{
  $s = $a + $b;
  return $s;
  }

 제대로 만들어진 함수 

 

프로그램한테 함수를 일단 만들어서 알려줘야한다.

function usum($a, $b)    // $a와 $b는 지역변수이면서 형식인자 또는 가상 변수라 한다.
{
$s = $a + $b;  return $s;
}  
$i=1; $j=2;
$k = usum($i,$j);     // $i와 $j는 실질인자라 한다.
echo("\$k = $k");

 전역변수는 굉장히 않좋기 때문에 잘사용하지않는다.

 

예제 1.

<?php 
 function usum($k)
  {
    $s=  0;
    for($i = 1; $i <= $k; $i++){
      $s = $s + $i;
    };
    return $s;
  }

  $a = 150;
  $b = usum($a);
  echo("1에서 {$a}까지의 합은 {$b}입니다.");
?>

 

예제2.

<?php
  function ex($a,$b)
  {
    $tmp = $a;
    $a = $b;
    $b = $tmp;

    echo("a ={$a}, b= {$b}입니다.<br>");
  }

  $a = 1;
  $b = 2;

  ex($a,$b);
  echo("a= {$a}, b={$b}입니다.");
  ?>

예제3.

<?
  function pri($i)
    {
          for($j = 2; $i % $j != 0; $j++){
              }
               if($i == $j)
                    return 1;
              else
                    return 0;
                    }

  $num = $_POST["num"];
  $n = 0;
  $s = 0;

  for($i = 2; $n < $num; $i++ ){
            if(pri($i)){
                         echo("$i  ");
                         $s = $s + $i;
                         $n++;
                       }
                  }
  echo("<br>
        소수의 개수는 {$n}개입니다.<br>
        소수의 합은 {$s}입니다.");
?>

 

<html>
<head>
<title>04.html 입력 폼파일</title>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head>
<body>
<form method="post" action="04.php">
  A : <input type="text" name="num"><br>
    <input type="submit" name="확인" value="확인">
    <input type="reset" name="취소" value="취소"><br>
</form>
<hr>
<?php show_source(__FILE__); ?>
</body>
</html>

-html 폼파일

 

예제4.

<?php
function ar2d(&$ar)
{
  $row = count($ar);
  echo("<table border='1'>");
  for($i = 0; $i <= ($row-1); $i++){
    echo("<tr>");
    $column = count($ar[$i]);
    for($j = 0; $j <= ($column-1); $j++){
      echo("<td width='84' align='center'> {$ar[$i][$j]} </td>");
    }
      echo("</tr>");
    }
    echo("</table>");
  }
  $k = 0;
  for($i = 0; $i <= 4; $i++){
    for($j = 0; $j <= $i; $j++){
      $k = $k+1;
      $ar[$i][$j] = $k;      }
    }
  ar2d($ar);
  ?>

 

#### php 를 이용한 DB접속

 

- oci_connect : ID PW TNS 명 입력

- sql 생성 : $sql

- oci_parse : 파싱이 두단계로 나눠짐

- oci_bind_by_name :SQL 구문 실행

- oci_execute 

- oci_fetch_array

- oci_fetch_all

- oci_free_statement

- oci_close

 

 

 

 

 

 

 

 

resource oci_connect ( string $username , string $password [, string $connection_string [, string $character_set [, int $session_mode ]]] )

오라클 접속할때 필요한것.

 

접속 식별자등의 내용을 tnsnames.ora 파일에 저장해둔 경우에 다음과 같이 TNS명을 이용해서 접속 프로그램을 작성 할 수 있다.

tnsnames.ora 파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아래와 같이 접속 정보를 직접한는 방법이 있앋. 특히 접속에 장애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장애 테스트 때마다 tnsnames.ora

 

 

반응형

'2019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1 학원  (0) 2019.12.31
1.CentOS7에 오라클 설치  (0) 2019.12.30
12.26 학원  (0) 2019.12.26
12.24 학원  (0) 2019.12.24
12.23 학원  (0) 2019.1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