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자격증

[자격증] 정보처리 산업기사.01

공부하는중1 2024. 4. 18. 14:49
반응형

1.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 경로제어는 송, 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 경로 제어는 경로 제어표를 참조해서 이루어지며, 라우터에 의해 수행된다.

경로 제어 요소

- 성능 기준

-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 정보 발생지

- 경로 정보의 갱신 시간

 

2. 경로 제어 프로토콜

 

IGP 

 - 하나의 자율 시스템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RIP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거리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며,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Ford 알고리즘이 사용됨

-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

- 최대 홉수를 15로 제한하므로 15 이상의 경우는 도달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RIP 을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함.

- 라우팅 정보를 30초마다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 알리며, 180초 이내에 새로운 라우팅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경로를 이상 상태로 간주함

 

 

OSPF

- RIP 의 단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됨

- 인터넷 망에서 이용자가 최단 경로를 선정할 수 있도록 라우팅 정보에 노드 간의 거리 정보, 링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단 경로로 라우팅을 지원함

- 최단 경로 탐색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함

- 라우팅 정보에 변화가 생길 경우 변화된 정보만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 알림

- 하나의 자율 시스템에서 동작하면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그룹에 도달함

 

EGP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BGP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EGP 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 졌음

- 초기에 BGP 라우터들이 연결될 때에는 전체 경로 제어표를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함

 

흐름제어

- 흐름 제어란 네트워크 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송/수신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이다

 

데이터베이스 개요

1. 데이터 저장소

- 데이터저장소는 데이터들을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하거나, 물리적인 공간에 구축한것을 의미한다.

- 논리 데이터저장소는 데이터 및 데이터 간의 연관성, 제약조건을 식별하여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 한것이다.

- 물리 데이터저장소는 논리 데이터저장소를 소프트웨어가 운용될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저장장치에 저장한 것을 의미한다.

 

 

2. 데이터의 독립성

논리적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시킴으로써,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키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을 받지 않음

물리적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과 보조기억장치 같은 물리적 장치를 독립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추가/변경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을 받지 않음

 

 

외부 스키마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

개념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 베이스 구조

 

3.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요구 조건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구현

 

개념적 설계 

 

- 개념적 설계는 정보의 구조를 얻기 위하여 현실 세계의 문한성과 계속성을 이해하고, 다른사람과 통신하기 위하여 현실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반응형